글자수 세기 도구
이 도구는 어떤 기능을 제공하나요?
실시간 글자수, 단어수, 문장수 계산
공백 포함/제외 옵션
소셜 미디어 글자수 제한 표시
읽기/말하기 예상 시간 계산
텍스트 통계 및 분석
글자수 세기 도구란?
글자수 세기 도구는 텍스트의 다양한 통계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온라인 유틸리티입니다. 공백 포함/제외 글자수, 바이트 수, 단어수, 문장수, 문단수를 즉시 계산하며, 소셜 미디어 플랫폼별 글자수 제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 실시간 글자수 카운팅 (공백 포함/제외)
- UTF-8 기준 바이트 크기 계산
- 단어수, 문장수, 문단수, 줄 수 계산
- 소셜 미디어 플랫폼별 글자수 제한 표시 (트위터, SMS,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 예상 읽기/말하기 시간 계산
- 통계 결과 복사 및 공유 기능
사용법
- 텍스트 입력 영역에 분석할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붙여넣기 합니다.
- 실시간으로 오른쪽에 표시되는 다양한 통계 정보를 확인합니다.
- 소셜 미디어에 게시할 경우 플랫폼별 글자수 제한을 체크합니다.
- 필요한 경우 '통계 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결과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를 지우려면 '지우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활용 사례
- 작가 및 블로거: 글의 길이와 가독성 측정, 글쓰기 목표 설정
- 학생: 에세이, 논문, 과제의 분량 확인 및 관리
- 마케터: SNS 콘텐츠 최적화, 글자수 제한 준수
- 개발자: 데이터 크기 예측, 문자열 처리 확인
- 번역가: 원문과 번역문의 길이 비교 및 최적화
- 이력서/자기소개서: 제한된 글자수 내에서 효과적인 작성
알아두면 좋은 정보
읽기/말하기 시간 계산 방식
일반적인 성인의 평균 읽기 속도(분당 200단어)와 말하기 속도(분당 150단어)를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실제 시간은 개인차와 텍스트 난이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바이트 계산 방식
UTF-8 인코딩을 기준으로 텍스트의 바이트 크기를 계산합니다. 영문은 일반적으로 1바이트, 한글과 같은 유니코드 문자는 3바이트를 차지합니다. 이 계산 방식은 JavaScript의 Blob 객체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메모장이나 다른 프로그램과 계산 결과가 다를 수 있습니다. 메모장은 BOM(Byte Order Mark) 추가, 줄바꿈 문자 처리(CR+LF), 인코딩 차이 등으로 인해 바이트 수가 더 많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각 플랫폼별 바이트 계산 차이:
- 네이버: 네이버는 한글을 UTF-8의 3바이트가 아닌 2바이트로 계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EUC-KR 또는 다른 인코딩 사용 가능성). 따라서 동일한 텍스트에서도 네이버의 바이트 계산 결과(약 160~170바이트)가 이 도구(약 230~240바이트)보다 적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워드(Word): 워드는 문자 수와 바이트를 구분하여 계산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공백과 특수 문자를 포함한 순수 문자 수만 제공합니다.
- 구글 문서: 구글 문서는 글자 수만 계산하고 바이트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MySQL, PostgreSQL 등)은 문자셋과 콜레이션 설정에 따라 다른 바이트 계산 결과를 보여줄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웹 표준 방식으로 바이트를 계산하므로, 다른 플랫폼과 결과가 다를 수 있지만 이는 오류가 아닌 계산 방식의 차이입니다. 특정 플랫폼의 제한에 맞추어 작업하는 경우, 해당 플랫폼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장수 계산 방식
문장 종결 부호(마침표, 느낌표, 물음표 등)를 기준으로 문장을 구분합니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언어의 문장 종결 부호(.!?。?!)를 인식하여 계산하며, 빈 문장은 제외됩니다. 제목이나 목록과 같이 종결 부호가 없는 짧은 텍스트도 하나의 문장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플랫폼별 글자수 제한
- 트위터(X): 280자
- SMS: 160자 (영문 기준)
- 인스타그램 캡션: 2,200자
- 페이스북 게시물: 약 63,206자
개인정보 보호
입력한 모든 텍스트는 사용자의 브라우저에서만 처리되며, 서버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안심하고 민감한 정보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댓글 로딩 중...